
- 이식 받은 간의 거부반응 발생을 예방하고, 약물로 인한 이상반응을 감소하기 위해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에 대해 정확히 알고, 처방대로 올바르게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면역억제제는 평생 처방된 용량을 정해진 시간에 정확히 복용해야 하며, 복용하는 것을 절대 잊지 않도록 합니다.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거나, 용량을 바꾸어 복용하면 절대 안됩니다.
간이식 후 면역억제제 복용 -> 거부반응 예방, 간 기능 보존
이식 후 초기> 이식 장기에 대한 면역 반응이 심하게 나타나므로, 면역억제제 효과 최대화↑, 약물 부작용 최소화↓위해 면역 억제 원리가 다른 두가지 혹은 세가지 면역억제제를 조합하여 복용하게 됩니다(이식 수혜자마다 복용하는 약물 조합은 약물 부작용, 증상에 따라 차이 있음). 이후 이식 후 기간이 지날수록 점차 면역억제제의 용량과 종류가 감소하게 됩니다.
면역억제제는 정해진 용량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해야 합니다. 임의로 용량을 바꾸거나, 복용을 중단하면 절대 안됩니다. 약이 떨어지기 전에 반드시 외래 방문하여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면역억제제가 과다한 경우, 감염 위험성이 증가하게 되며, 면역억제제가 부족한 경우 거부반응의 위험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몸 속 면역억제제의 적정한 농도 유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면역억제제의 혈중 약물 농도(혈액검사를 통해 몸에 약이 남아있는 정도)를 확인한 후 복용해야 하는 용량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외래 방문 혹은 입원시 면역억제제 복용 전에 혈액검사를 우선 시행한 후,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면역억제제의 혈중 최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함)
![]() 지켜주세요 |
본인이 복용하는 약품명, 복용 용량, 용법을 정확히 알기 평소에 약은 반드시 휴대하고, 여행시에 불시 상황을 대비하여 여유 있게 갖고 다니기 "공복" - 음식이 약의 흡수를 방해하지 않도록 면역억제제 복용 전 1시간 금식 (물 섭취는 상관없음) |
|---|---|
![]() 먹지마세요 |
자몽 및 자몽쥬스 (자몽과즙농축액, 그레이프후르츠농축액 포함 음료), 오미자 추출물 한약, 인삼, 홍삼, 건강기능식품, 민간요법, 즙, 액기스 등 임의로 다른 약을 복용 |
| 면역억제제 종류 | 약품 종류 | 용량 | 용법 | 부작용 | |
|---|---|---|---|---|---|
|
칼시뉴린억제제 |
타크로리무스(Tacrolimus, FK506) | 프로그랍 | ![]() 0.5mg,1mg |
1일 2회 12시간 간격, 공복에 복용 | * 두통, 손발 저림, 어지러움, 불면 등 * 고혈당, 고혈압, 고지혈증 * 고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등 * 감염 위험 * 신기능 저하 * 구토, 복통, 설사 등 |
| 타크로벨 | ![]() 0.25mg,0.5mg,1mg |
||||
| 아드바그랍 | ![]() 0.25mg,0.5mg,1mg |
1일 1회, 아침 공복에 복용 (일정 시간에 복용) | |||
| 사이클로스포린 (Cyclosporine) | 산디문 뉴오랄 / 사이폴 N 연질캅셀 | ![]() 25mg,100mg |
1일 2회 12시간 간격 | * 신기능 저하 * 두통, 손발 저림, 감각이상 등 * 잇몸 증식증 * 구토, 설사, 복통 등 * 다모증, 여드름 등 |
|
|
스테로이드 |
스테로이드(Steroid) | 메치론 | ![]() 4mg |
1일 1회 혹은 2회, 식후 복용 (위장 장애 예방) * 스테로이드는 교육받은 대로 단계적으로 감량 |
* 속쓰림 등(위장 장애 증상) * 고혈당, 식욕증가, 체중증가 * 골다공증, 성장지연 * 피부 약화, 녹내장, 백내장 * 고혈압, 부종 |
|
항대사물질 |
마이코페놀레이트 (Mycophenolate, MMF) | 셀셉트 | ![]() 250mg |
1일 2회 12시간 간격 | * 감염 위험 * 빈혈, 혈소판 감소증, 백혈구 감소증 등 * 설사, 메스꺼움, 구토, 복통 등 (위장 장애 증상) |
| 마이렙트 | ![]() 250mg,500mg |
||||
| 마이폴틱 | ![]() 180mg,360mg |
||||
mTor억제제 |
에베로리무스 (Everolimus) | 써티칸 | ![]() 0.25mg,0.5mg, 0.75mg,1mg |
1일 2회 12시간 간격 (공복 혹은 식후 일정한 시간 복용) | * 설사, 복통, 변비, 구토 등 * 고지혈증, 혈압 상승 * 상처회복지연, 구강궤양, 여드름, 발진 등 * 감염 위험 |
B형 간염 약 (항바이러스제): 이식 전 복용하던 치료제 복용 (원인 질환 재발 예방)
비리어드 (Tenofovir) - 1일 1회 (공복 혹은 식후 복용)
바라크루드 (Entecavir) - 1일 1회 (공복 복용)
감염 예방약: 면역억제제 복용으로 감염에 취약해지므로, 감염 예방
셉트린 (박트림, 설파메톡사졸/트리메토프림) - 1일 1회 (아침 식후 복용)
- 폐렴 예방 약, 수술 후 6개월 복용
위 보호 약: 스테로이드(메치론) 복용으로 인한 속쓰림 예방
판토라인(판토프라졸) 혹은 넥시움정(에소메프라졸) - 1일 1회 (오전 7시 복용)
알마겔 - 1일 2회 (아침 식후, 취침 전 복용)
간 기능 개선약: 간 기능 보호
우루사 - 1일 2회 (아침, 저녁 식후 복용)
항혈전약: 혈전 생성 예방
아스피린(아스트릭스) – 1일 1회 (아침 식후 복용)
- 출혈 위험이 증가하므로, 수술 혹은 시술 전 이 약을 복용하고 있음을 미리 알려야 함
당뇨약: 이식 전부터 지속된 또는 면역억제제 특히 스테로이드(메치론) 복용으로 인해 발생한 당뇨 치료
- 이식 후 초기에 인슐린으로 조절한 후, 스테로이드 용량의 감소 및 시간이 경과하며 경구용 혈당 강하제로 전환
- 매 식전, 취침전 혈당 측정 필요
혈압약: 이식 전부터 지속된 또는 면역억제제 복용으로 인해 발생한 고혈압 치료
- 꾸준히 혈압 측정 및 혈압약 복용이 중요함
- 주로 노바스크, 아달라트오로스, 딜라트렌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