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주 금연 |
음주, 흡연 절대 금지! 술은 절대로 마시면 안됩니다. 술은 간에서 분해되는데, 이 때 간 기능이 악화되며, 복용중인 약물과 알코올이 결합하게 되면 간에 해를 주게 됩니다. 알코올성 간경화로 간이식을 받은 환자 중 간경화로 다시 진행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 음주입니다. 이식 받은 간은 일반적인 간보다 알코올에 더 민감하며, 훨씬 손상을 받기 쉽습니다. 이식받은 간을 소중히 생각하며 금주를 꼭 지켜주세요. 반드시 금연해야 합니다. 흡연은 폐암, 고혈압,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등을 유발합니다. 간이식 후 복용하는 여러 약물들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을 유발하므로 이식 후에 흡연하게 되면 이러한 질환으로 인한 합병증이 훨씬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이식 후 반드시 금연해야 합니다. |
|---|---|
![]() 피부 |
청결유지, 장시간 강한 햇빛 노출 주의, 자외선차단제 사용 피부 색 변화, 발진, 수포 있을 경우 이식팀 상의 청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샤워를 자주 합니다(최소 주 3회 이상). 청결을 위해 속옷을 자주 갈아입습니다. 피부가 건조하다면, 순한 비누를 사용하고 목욕 후에는 로션을 바릅니다. 면역억제제 복용으로 인하여 여드름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여드름 부위를 중심으로 잘 씻어내고, 비눗기를 깨끗이 헹구어 주세요. 면역억제제 중 스테로이드는 모발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파마나 염색 등으로 모발이 건조하고 쉽게 부서질 수 있습니다. 파마나 염색을 가급적 주의해주세요. 면역억제제로 인해 일시적으로 머리카락이 빠지는 탈모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식 후 기간이 경과되면 탈모 증상이 자연적으로 감소하게 되므로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한편 면역억제제로 인해 얼굴, 팔과 같은 곳에 털이 많이 날 수도 있습니다. 이식 후 기간이 경과되면 자연적으로 감소하게 되므로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간이식 환자는 햇빛에 노출되면 피부암, 입술암 발생의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장시간동안 직접적인 햇빛 노출을 피해야 합니다. 외출을 할 때에는 모자를 쓰고 긴팔 옷을 입거나 양산을 써주시고, 꼭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해주세요. 자외선 차단제는 물에 닦여지므로 물에 들어갔다가 나올 때는 다시 발라주세요. 긁힌 작은 상처는 비누를 통해 깨끗이 씻어 청결상태를 유지합니다. 큰 상처는 외래에서 주치의와 상의하여 치료를 해야합니다. 피부 상태가 평소와 달리 발진, 수포 등이 생겼거나, 색의 변화가 있다면 즉시 이식팀과 상의를 해야합니다. |
![]() 여행 |
여행 전 담당 의료진과 상의, 복용할 약 개수 확인 여행지에서 자주 손씻기, 안전한 음식 섭취 여행을 하기 전 꼭 주치의와 상의 후 여행 결정을 합니다. 계절마다 나라마다 유행하는 전염성 질환이 있을 수 있으므로 미리 건강 상태와 여행지의 상황을 파악하고 결정해야 합니다. 여행지에서 복용할 약이 충분한 지 확인하시고, 직접 휴대하고 다니세요. 여행을 갔을 경우, 안전한 음식 섭취를 해야 하고, 손위생을 자주 해야 합니다. |
![]() 타과검진 |
정기적인 치과, 안과 검진, 여성의 경우 산부인과 검진, 유방 자가검진 이식 후 2년간은 구강 감염을 확인하기 위해 매 6개월마다 치과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치과 치료가 필요하다면, 면역억제제 복용 사실을 알려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필요합니다. 여성의 경우 유방 자가검진과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여러 면역억제제는 당뇨,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점검 및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
![]() 직장생활 |
담당 의료진 상의 후 직장 복귀 결정 직업에 따라 차이 있으나 보통 3개월 후 가능합니다. 담당 주치의와 상의 후 결정해주세요. |
![]() 부부생활 |
담당 의료진 상의, 일상생활 편안함 느낄 때부터 가능, 여성의 경우 비뇨기계 감염 주의 부부관계는 외래에서 주치의와 상의해주세요. 부부관계는 감염, 거부반응, 이식 후 합병증과는 관계가 없으므로 안심하셔도 됩니다. 일상생활에 편안함을 느낄 때부터 가능합니다. 단, 콘돔을 꼭 사용해주세요. 여성 수혜자의 경우, 비뇨기계 감염에 주의하여 항상 청결을 유지해주세요. 이식 후 약물로 인하여 성 기능에 변화가 올 수도 있습니다. 증상이 있다면 외래에서 주치의와 상의합니다. |
![]() 임신 |
담당 의료진 상의 후 면역억제제 조정, 이식 1년 후 임신 계획 간이식 후 임신을 계획한다면, 외래에서 주치의와 상의를 한 후 면역억제제 조정을 해야 합니다. 면역억제제를 복용하게 되면 임신이 임부와 태아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는 있으나 성공적으로 임신과 분만을 한 사례가 많습니다. 단, 이식 후 최소 1년은 임신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